지역주의를 민주주의라고 착각하는 대선후보자들에게 인간의 본성은 선도 없고 악도 없지만 外物과 접촉했을 때 비로소 선악이 나타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공동체 생활을 하게 된다. 이 때 이미 인간은 선과 악을 갖게 된다. 그 공동체에서 자급자족을 하게 되면 문제가 없는데 완전하게 만족할 수는 없다. 따라서 물물교환이 이루어지고 공동체간의 교.. 시사칼럼 2001.10.26
문명의 충돌 속에서 드러난 생존권 전쟁 -미국의 아프칸 보복전쟁정책을 바라보며- 인간은 자연속에서 태어나고 그 속에서 살다가 죽어서 다시 자연으로 돌아간다. 또한 본래 자연에서의 인간은 無善無惡한 존재이지만 인간끼리 서로 접촉하면서 자신 또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이익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 이익을 추구하다가 선악이라는 의식이 생기게 되었다. 서로 이익을 추구.. 시사칼럼 2001.10.08
동양권의 문명충돌과 그 대안. - 미국의 아프칸 공격에 대해 우리의 군사지원 결정에 대해-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공동체생활을 하게 되지만 다른 공동체와의 교류로 인하여 무의식중에 소속감을 갖게 된다. 교류는 물물교환을 통한 경제교류도 있지만 부족한 지역에서 먹고 살기 위해 풍족한 지역을 침략하면서 전쟁 등이 일어남으로서 나타나는 교류도 있다. 전자는 문명의 교류이지만 후.. 시사칼럼 2001.09.22
사형제도 이대로 좋은가 인간은 본래 無善無惡한 존재였다. 그러나 그후 자라나면서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선악이 생기게 되었다. 따라서 본래 인간의 모습은 무의식의 존재였지만 차츰 외부와의 접촉을 통해서 상대적으로 비교하게 되고 이로인해 보다 나은 생활을 위해서 이익을 추구하게 된다. 그 이익인 부, 명예, 권력.. 시사칼럼 2001.08.06
'시제'를 맞이하며 제목 : '시제'를 맞이하며 한민족은 본래 유목민족으로서 하늘신앙이 강한 민족이었다. 오직 풀을 찾아서 돌아다니기 때문에 하늘을 방위로 삼고 비오는 것을 기다렸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우리나라를 동이족이라고 불렀는데 고대의 은나라도 동이종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은나라 역시 하늘의 상제.. 시사칼럼 2000.11.22